-
Houdini Pyro simulation workflow | 후디니 불 제작 원리 이해하기쓰리디/Houdini, 후디니 2024. 9. 2. 08:51반응형
Houdini Pyro simulation,
꼭 필요한 Field와 Work Flow를 알아 봅시다!
Pyro, 불 Simulation 웤플로우
Pyro와 같은 Simulation이 필요로하는 정보가 많습니다.
정확히 이해한다면, 원하는 샷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한 Attribute(정보)를 체크 해볼까요~?
활용되는 중요 Field
field는 simulation상에서의 Attribute라 여기며 정확히 다룰 수 있어야 겠습니다.
01 temperature
온도, 불덩어리가 뜨거워지도록, 출력 전체 규모 제어 가능.
02 density
가장 직관적인 연기의 양
03 flame
남은 Fuel과 같은 반응물의 수명을 저장.
그을음, 온도(Temperature)높이고, 팽창(Expansion)을 일으킬 수 있음
04 burn
- 초기 폭발의 원천으로 활용됨
- 추후 flame의 source volume으로 활용하기도함.
05 vel원하는 방향이 있다면, Advection(이류)로도 활용됨
Pyro WorkFlow
그렇다면 Dop내부에서 진행되는 순서는 어떨까요?
01 temperature의 확산과 냉각
높은 온도 > 낮은 온도로 전달, Cooling은 복사 열 손실을 포착
02 density, flame, temperature, vel의 이류 시작
힘을 어디로 갈지 Field로 판단함.
- burn > flame으로 받아서 온도를 높히기도 함.
03 flame 의 수명 확인
fuel와 같은 반응물의 Life를 확인 한 이후에 추가 시뮬레이션
04 density의 소산(dissipate)
density,연기의 밀도가 줄어들면서 사라짐.
05 Simulation의 Container 크기 조정
resize gas field와 같이 bound box의 조절.
06 Force,(힘) buoancy(부력), viscosity(점성)
Force, Garvity나 Wind의 힘이 있다면 vel Field에 적용됨.
Buoancy, 상승하는 효과.
Viscosity, 꿀과 같은 점성을 연기에도 넣음.
07 Shape 연산자
Turbulence(난류), Shredding(파쇄), Disturbance(교란)과 같은 모양을 만들어줌.
08 Pressure
divergence(발산)을 시켜 빠른 확장을 일으 킬 수 있도록
목표 divergence(발산)에 의해 expansion, 축소 일치하는지 확인
마무리
Attribute나, Field를 영어로 알고있고 정확히 단어 뜻을 이해한다면,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 함께 작성했습니다.
FireBall Shelf로 확인하면서 공부하시면 더욱 눈으로 보면서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참고 자료
https://www.sidefx.com/docs/houdini/pyro/background.html
Understanding how pyro works
Pressure projection is a critical stage in a fluid simulation. It is responsible for coupling the fluid with the colliders, for giving rise to vortices in incompressible flow, as well as causing the sudden and rapid expansion for an explosion. The divergen
www.sidefx.com
남만 알고 있는 쓰리디에 대한 정보를
속이 쓰리지 않게,
소기쓰리디반응형'쓰리디 > Houdini, 후디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traint Attribute, 제약 속성에 대해 알아보자(in Houdini destruction) (0) 2024.09.10 Vertexindex, Vertexpoint를 활용해서 pointnumber를 찾아보자 (0) 2024.09.10 이동 경로만큼의 θ구하기 | Houdini (0) 2024.03.14 Degree, Radians(θ)의 이해와 변환 (0) 2024.03.07 Houdini에서의 Current Frame $F, $FF의 차이? (0) 2024.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