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xel의 크기에 따른 이미지의 무게(Feat. Dpi, Ppi, 이미지 데이터들을 이해하며 알아보자)쓰리디 2023. 8. 2. 23:00반응형
👉🏼이미지의 픽셀 수와 데이터 크기는 비례합니다.
👉🏼디지털 이미지는 픽셀이 더해져서 시각적으로 보이는 결합체입니다.
디지털 이미지와 영상
디지털 시대에 사는 우리는 영화, 드라마를 너머 SNS에서 까지도, 광고, 쇼츠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서 이미지를 만납니다.
(영상은 연속된 이미지입니다. 영상 데이터 내에도 이미지 데이터가 꼭 필요하겠죠?)
이미지 안에는 Pixel과 Data 크기 사이의 당연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이미지가 데이터로 변환되기 위해서 Pixel이 되는 이유를 기술적인 측면을 알아보고 이미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크기에 관하여 알아봅시다!이미지 데이터들은 어떻게 저장되는가?
디지털 이미지의 맥락에서 데이터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정보입니다.
여기에는 픽셀 값, 메타데이터(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및 파일 형식이 포함되겠습니다.이미지 데이터의 원소, 픽셀
픽셀은 디지털 이미지의 Building Block(설계하는 과정에서 이들 제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입니다.
다른 표현으로 또 알아볼까요?
픽셀은 화면 또는 이미지 센서에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개별 단위입니다.
각 픽셀은 일반적으로 빨간색, 녹색 및 파란색(RGB) 값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색상에 대한 정보를 전달합니다.이미지를 보면서 알아봅시다.
1K Render(MtoA) 위와 같은 이미지가(여러분들이 핸드폰으로 찍는 사진도 마찬가지입니다.) 정확하게 우리 눈에 인식되기 위해서는 Computer가 이해하여야 하는 RGB 또는 CMYK 등의 수치로 저장되어야 합니다.
하나의 Pixel내에 포함되어 있는 RGB(MtoA) 그렇기 때문에 Pixel위에 마우스를 가져다 올리면 MtoA(Maya Renderer Arnold) 에서는 Pixel의 RGB color값을 Output 해줍니다.
(사실 Rgb, Luminance, HSV의 정보도 보여줍니다.)이미지에 더 많은 픽셀이 채워지면 각 픽셀의 색상과 위치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데이터가 그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그에 따라, 포함된 픽셀이 많을수록 해상도와 시각적 충실도가 높아집니다.픽셀의 크기에 따른 이미지 품질
더 많은 픽셀은 이미지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어떻게 미치는지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1024 x 1024 / 216 x 216 위와 같이 Pixel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세부 사항이 표시되어 Look이 향상됩니다. 이것은 우리가 보고 있는 화면에서도 적용되겠지만, 전문적인 출력을 위해 고해상도 이미지가 필요한 사진, 그래픽 디자인 및 비디오 제작 산업에서도 중요하겠습니다.
Resolusion(해상도)를 정하는 PPI, DPI
근간은 위의 내용과 같습니다. 위의 픽셀수를 높여, 이미지의 퀄리티를 높이던지 하는 측면에서 시작합니다.
PPi : Pixel per inch( 인치당 픽셀수)
DPi : Dot per Inch( 인치당 도트 수)Dot인지, Pixel인지 찍어내야 하는 출력물이 화면이라면 Pixel, 종이라면 Dot로 찍혀야 하겠지요~?
마찬가지로 많은 Pixel, Dot를 가진 이미지들이 Resolution, 즉 해상도가 높아 이미지 품질도 높겠습니다.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는 단위 면적당 더 많은 Pixel을 가지므로 당연하게 시각적으로 더 선명하고 디테일합니다.
예를 들어 1920x1080 Full HD 이미지에는 2,073,600픽셀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3840x2160의 4K 이미지에는 무려 8,294,400픽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압축 기술등 이미지 파일 형식을 이해한, 저장과 업로드
새로운 카메라와 새로운 Renderer 등의 기술적인 발전으로 압축하여 보관하여야겠습니다.
더 큰 이미지 데이터 크기로 인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압축 기술이 사용됩니다.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은 허용 가능한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면서 중복 정보를 제거하여 데이터 크기를 줄입니다.
그러나 과도하게 압축하면 디테일이 손실되고 시각적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이미지 파일에 따라, 이미지를 압축하여 보관하기도 합니다.)
이미지 파일 형식(.PNG, .JPEG, .HEIC .EXR, .GIF, .TIFF, .RAW, .TGA)의 특징
👉🏼 이미지 파일 형식에 대해서 궁금하신가요? 👉🏼어떤 이미지를 어디에 활용을 해야할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이미지 파일 형식은 각각의 특징에 따라 다르게 활용됩니다. 조금 더 자세하
sogi3d.xyz
앞에서 말했듯이, 이미지 파일의 크기와 Pixel의 수치는 비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Pixel과 Data 간의 관계는 저장이나 업로딩 요구 사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위의 PPi, DPi Pixel이 많이 지면(해상도가 높아지면) 큰 이미지 데이터 크기를 갖고, 더 많은 디스크 공간을 요구합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 높은 메가픽셀 수의 디지털 장치와 카메라는 파일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더욱 보관을 Control 잘하여야겠습니다.
남만 알고 있는 쓰리디에 대한 정보를
속이 쓰리지 않게,
소기쓰리디반응형'쓰리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xel Shader란? 그 종류는? (0) 2023.08.05 Normal Map과 DispalceMent Map의 차이는? 그리고 활용되는 텍스쳐는?(Feat. HeightMap) (0) 2023.08.03 고급 이미지 뷰어 DJV File Viewer로 EXR, TGA, MultiChannel등을 미리보자! (0) 2023.08.01 촬영에서의 Horizon이란?(Maya에서의 Horizon제작과 배치) (0) 2023.07.31 Maya에서 Arnold Render의 특징은?(Feat. MtoA?) (0) 2023.07.30